ARKK ETF에서 지속적으로 비중을 늘리는 주식이라고 해서
퓨어스토리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봤습니다.
퓨어스토리지(PSTG)는 2009년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되었으며 2011년 회사명을 퓨어스토리지 변경한 데이터 저장장치 및 서비스 관리를 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입니다.
퓨어스토리지(PSTG)는 일반 소비자 보다는 기업체를 상대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 상품으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5년 8월에 상장을 했으며 현재는 시가총액은 약 60억 달러입니다.
퓨어스토리지의 주요 기술 및 상품으로는
Flash Array, Flashblade, Flashstack, Pure as a service, evergreen, Pure1 이 있습니다.
Flash Array 는 기계식 디스크 드라이브가 아닌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만 포함된 스토리지 인프라를 의미합니다. 이를 solid-state array라고도 하며 hdd 대신 ssd를 사용해 더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특히 퓨어 스토리지의 flash array는 non-volatile memory express 기술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non-volatile memory express 또는 nvme는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에 더 빠르게 액세스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스토리지와 서버간의 연결 속도가 더욱 향상됩니다. 그 결과 풍부한 데이터 서비스, 세계적인 플래시 관리, 높은 효율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Flashblade는 퓨어스토리지에서 개발한 object storage 입니다. blade를 추가함으로써 용량과 성능이 늘어나며 전통적으로는 하드 드라이브를 네트워크에 붙이는 형태인 nas를 사용했었는데 flashblade를 사용함으로써 storage의 속도가 더 빨라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7개의 blade로 시작해 150개가 넘는 blade까지 설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Flashstack는 Flasharray와 Flashblade를 넣어서 만든 클라우드 서버 컴퓨터 입니다. 여기에는 3가지 강점이 있다고 합니다.
첫째, 쉬운 채택과 최대한의 생산성을 갖췄습니다. 쉬운 채택이라 함은 빠른 설치 더 낮은 비용을 의미합니다. 그러면서도 더욱 견고한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설치를 한 후 일일이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설치한 후의 리스크 역시 줄였다고 합니다.
둘째, 유연성을 갖췄습니다. Flashstack은 cisco에 인증받은 디자인으로 그 어떤 업무에서도 최소한의 리스크를 보이는 융통성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렇게 미리 인증된 28개의 디자인에서 고객은 선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른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마지막 강점은 빠르다는 것입니다. Flashstack은 지연 속도가 매우 낮으며 높은 대역폭을 갖추고 있으며 그에따른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사업의 필요에 따라 it 반응속도도 늘릴 수 있고 수요에 맞춰 새로운 용량 추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Pure as a service란 storage as a service 플랫폼의 한 형태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고객사가 flashstack와 같은 퓨어스토리지의 제품을 구독하면 기가바이트당 달러 비율로 사용하는 양에 알맞은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어떤 사업을 시작할 때 새로운 저장 용량을 사는 것은 상당히 자본이 들게 됩니다. 또한 새로 시작하는 입장이다 보니 얼마나 많은 용량이 필요한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처음 필요한 양의 용량만을 storage as a service 제공업체로부터 구입을 한 후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Evergreen storage는 구독형 수익모델으로서 퓨어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고객들이 계속해서 자신들이 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하게끔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만약 어떠한 회사가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서버를 구축하고 그에 따른 업그레이드를 단행하게 되면 엄청난 비용이 들거니와 유지비용도 상당합니다. 하지만 Evergreen storage service를 구독하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두 꾸준한 업데이트를 해주며 그에 대한 비용이 50퍼센트 이상 절약된다고 합니다. Pure1은 간단히 말해서 퓨어 스토리지사에서 제공받는 모든 서비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 가시죠?
쉽게 특장단점만 간추려 보자면,
-서버 저장에 SSD 스토리지 사용 그로 인해 기존 하드에 비해서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자랑하지만 비용이 비쌈
-클라우드 서버 교체 시 downtime 미발생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저장소만 변경할 수 있음
퓨어스토리지(PSTG)의 연간 매출액은 약 16억 달러 수준이며 전체 매출의 20퍼센트 이상이 구독서비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순수익은 마이너스이며 부채비율이 자기 자본보다 큽니다. 재무적으론 아직 안정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연매출을 보여주며 해외 유수 IT기업을 포함한 4800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회사를 키워나가며 시장을 공략 중입니다.
'주식(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의 주가 및 전망 (0) | 2021.04.09 |
---|---|
루시드 모터스(LUCID)의 사업전략과 기술력, 투자가치(테슬라와 비교) (0) | 2021.04.08 |
자율주행 라이다 전쟁!! 루미나(LAZR)의 전망, 투자가치, 주가 (0) | 2021.04.05 |
핀테크 주식 sofi 전망, 투자가치, 공부 티커 ipoe (0) | 2021.04.01 |
evbox(티커: tpgy, evb) 주가, 전망, 투자가치 공부 (0) | 2021.03.30 |
댓글